-
펜터민, 로카세린, 펜디메트라진: 식욕억제제의 작용 기전, 용법, 주의사항건강/다이어트 2025. 2. 8. 00:40
1. 식욕억제제란?
식욕억제제(Appetite suppressants)는 비만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줄이거나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식욕억제제에는 펜터민(Phentermine), 로카세린(Lorcaserin),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이 있으며, 각각의 작용 기전과 용법, 주의사항이 다릅니다.
2. 펜터민(Phentermine)
(1) 작용 기전
펜터민은 교감신경 흥분제(sympathomimetic amine)로서, 뇌의 시상하부에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도파민(Dopamine), 세로토닌(Serotonin)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합니다. 이는 암페타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중추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식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
(2) 용법
- 성인의 일반적인 용량은 1일 1회 15~37.5mg을 아침에 복용합니다.
- 일부 환자의 경우 18.75mg을 1일 2회 나누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 식욕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12주 이내 사용).
(3) 주의사항
-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늦은 오후 또는 저녁 복용은 피해야 합니다.
- 남용 및 의존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 없이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3. 로카세린(Lorcaserin)(현재퇴출)
(1) 작용 기전
로카세린은 세로토닌(5-HT2C) 수용체 작용제로, 뇌의 식욕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다른 교감신경 흥분제와 달리 심혈관계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용법
- 성인의 일반적인 용량은 1일 2회 10mg씩 복용합니다.
-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지만, 12주 후 체중 감소 효과가 5% 미만일 경우 지속적인 복용을 중단할 것을 권장합니다.
(3) 주의사항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위험이 있으므로 SSRI, SNRI 등과 함께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두통, 어지러움,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020년 미국 FDA에서 암 발생 위험 증가로 인해 시장에서 퇴출되었습니다.
4.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1) 작용 기전
펜디메트라진은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는 간에서 대사되면서 일부가 암페타민 계열 물질로 전환되며, 교감신경계 자극 효과를 나타냅니다.
(2) 용법
- 성인의 일반적인 용량은 1일 2~3회 35mg 식사 60분 전에 복용합니다.
- 용량은 1회 70mg을 1일 3회를 초과하여 복용하지 않습니다.
- 12주 이상 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3) 주의사항
- 고혈압, 협심증, 녹내장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신경과민, 불면증, 심계항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남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히 복용해야 합니다.
5. 결론
펜터민, 로카세린, 펜디메트라진은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욕억제제이며, 각각의 작용 기전과 복용법, 주의사항이 다릅니다.
- 펜터민은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강력한 효과가 있으나, 남용 및 심혈관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
- 로카세린은 세로토닌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포만감을 증가시키지만, 안전성 문제로 시장에서 퇴출되었습니다.
- 펜디메트라진은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촉진하여 식욕을 억제하지만, 암페타민과 유사한 특성이 있어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하며, 생활습관 개선과 병행하여 건강한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Bray GA, et al. "Phentermine and topiramate extended-release: a new treatment for obesity and its complications." Obesity (Silver Spring). 2013;21(5):956-965.
- Smith SR, et al. "Multicenter, placebo-controlled trial of lorcaserin for weight management." N Engl J Med. 2010;363(3):245-256.
- Apovian CM, et al.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besit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5;100(2):342-362.
'건강 >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표적인 다이어트 보조제의 과학적 효과 분석 (3) 2025.02.19 지방을 태우고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 되는 10가지 식품 (1) 2025.02.11 체중 감량 의약품 (0) 2025.02.08 에이올정 알긴산 효능 효과 부작용 (0) 2025.01.24 위드컷캡슐 포스콜린 효능 효과 부작용 (2) 2025.01.24